CPU 수냉쿨러 추천 장단점 및 3rsys CSI 360 후기

최근 고성능 CPU 쿨러로 수냉쿨러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보다는 많은 종류의 수냉쿨러가 새롭게 출시되고 있는데요. 수냉쿨러 장단점과 함께 추천 제품, 그리고 제가 직접 구입하고 사용해본 3rsys CSI 360 수냉쿨러 장착 과정 및 후기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3rsys-수냉쿨러
3rsys CSI 360 수냉쿨러 장착 모습

CPU 쿨러의 종류

CPU라는 것이 성능이 높아지는 고성능일수록 자체에서 열을 발산하는 발열이 꽤 심한 편입니다. 그래서 사용 중에는 반드시 열을 식혀줘야 하는데요. CPU 열을 식혀주는 쿨러에는 크게 공랭쿨러와 수냉쿨러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공랭쿨러는 공기 및 바람으로 열을 식혀주는 것이고, 수냉쿨러는 펌프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을 식혀주는 원리이지요.

  • 공랭쿨러 : 녹투아 NH-D15, 딥쿨 AK400, 딥쿨 AG620, 딥쿨 어쌔신3, 써모랩 트리니티 등
  • 수냉쿨러 : NZXT 크라켄 X73, Z73, 리안리 갤러헤드 AIO 240, 3rsys CSI 360 등

수냉쿨러 장점 및 단점

수냉쿨러 장점

  • 공랭쿨러 대비 냉각효율이 좋아 CPU 온도 유지력 좋음
  • 오버클럭 시 CPU 최대성능 이끌어 내기 좋음
  • 장착 및 탈착(조립과정)의 용이함 (메인보드 램 및 그래픽카드 간섭 불필요)
  • RGB 감성이 공랭보다 화려하고 예쁨

수냉쿨러 단점

  • 가격이 비쌈
  • 펌프 소음(고주파음)이 심함
  • 누수에 대한 불안요소 발생
  • 수냉쿨러 첫 조립이라면 장착이 어려울 수 있음

수냉쿨러 구입 전 고려해야 할 사항

  • AS 보증 기간 및 누수 발생 시 나머지 PC 부품들의 피해 보상 여부
  • 케이스 내부 크기를 고려한 사이즈 선택 (2열, 3열)

수냉쿨러를 구입하기 전에는 반드시 미리 살펴봐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바로 누수에 따른 AS 보증 정책과 기간인데요. 대부분 수냉쿨러 제주사들은 자체적인 AS 보증기간이 있습니다. 제품에 따라 짧게는 2-3년, 길게는 5-6년까지 보증해 주기도 하는데요. 보증기간이 길수록 가격은 비싸지겠지요. 또한 누수가 되었을 때 나머지 부품 피해에 대한 보상 여부도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PC 조립 및 부품 관련 커뮤니티에서 실제 AS 후기 등을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거예요. 그리고 케이스 크기에 따라 수냉쿨러의 라디에이터 크기에 제한이 있는데요. 대개 2열과 3열 사이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2열 보다는 3열이 냉각효과가 더 좋지만, 그만큼 케이스 크기에 제한이 있다는 것도 참고하셔야 합니다.

3rsys CSI 360 ARGB 수냉쿨러 장착 후기

개인적으로 CPU를 라이젠 5900X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쿨러 역시 기존 공랭쿨러에서 수냉쿨러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5900X의 성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랭보다는 수냉쿨러를 쓰는게 맞는 것 같더라고요.

3rsys-수냉쿨러

여러 제품들을 검색하고 고려해 본 결과, 제가 선택한 제품은 3rsys 에서 나온 CSI 360 ARGB 3열 수냉쿨러 제품이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추천하시는 NZXT 크라켄 X73 혹은 Z73 제품도 살펴봤는데, 가격이 너무 비싸더라고요. 그래서 이것저것 고민을 하다가 가격이 어느 정도 합리적이고 성능도 뒤쳐지지 않는, 게다가 AS 정책도 좋은 3rsys 제품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보증기간이 6년인 것도 마음에 들었고 커뮤니티에서 3rsys AS 후기도 좋은 평이 많은 것도 선택의 이유가 되었습니다. NZXT Z73에 비하면 거의 1/3 가격이었습니다.

3rsys-수냉쿨러

원래 기본 구성품 중에 라디에이터에 붙는 3열 팬은 기본 3rsys에서 나온 120mm RGB 팬이 포함되어 있지만, 저는 번들팬 보다는 RGB는 없더라도 보다 저소음 고성능을 낼 수 있는 아틱 P12 팬으로 교체해서 장착하기로 했습니다. 아틱 P12 쿨링팬 후기는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아틱 P12 쿨링팬은 수냉쿨러 달기 전, 케이스 쿨링팬으로도 이미 교체해서 꽤 만족하며 잘 사용하고 있는 중이라 수냉쿨러 라디에이터 전면 샌드위치 패널로 같이 묶어서 세팅하면 효과가 더 좋을 것 같더라고요. 냉각효율에 대해서도 상단 배기가 낳은지, 전면 샌드위치 패널이 낳은지 의견이 분분하던데, 저는 그냥 전면 샌드위치 패널로 장착하기로 했습니다.

3rsys-수냉쿨러

3rsys CSI 360 ARGB 수냉쿨러 장착 조립 과정

개인적으로 수냉쿨러는 첫 조립이라 처음에 조금 헤매긴 했지만, 그래도 나름 차근차근 설명서 보면서 조립을 하다 보니 큰 어려움 없이 조립을 할 수 있었습니다. 보다 자세한 장착 및 조립 과정은 위의 글을 참고해 주세요.

씨네벤치R23

조립을 모두 마친 후, 이제 본격적인 성능 테스트를 해보게 되었는데요. 일단 라이젠 5900X가 장착된 상태에서 오버클럭은 46배수까지 올렸고, 램 오버클럭은 3600까지 진행한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 시네벤치 R23을 돌려봤는데요. 그 결과 값은 싱글코어 1512점, 멀티코어 22768점이 나와 나름 준수한 성능을 보여준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CPU 온도도 같이 측정했었는데요. 멀티코어를 돌릴 때 최고온도는 약 80도 정도 기록을 했습니다. 이 정도면 실 사용엔 큰 무리가 없을 것 같아 수냉쿨러의 효율과 성능을 느낄 수 있었네요.


Leave a Comment